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영/재무&회계

기업의 재무정보 알아보기 ① ROE(자기자본이익률), ROA(총자산이익률)

주식투자를 하다보면, 혹은 업무 중 보고서를 쓰다보면 흔히 볼 수 있는 두 가지 재무지표가 있습니다.

ROE와 ROA인데요, 두 재무지표는 어떤 의미를 담고있으며 언제 쓰이는 지 한번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개념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수익률

투입한 자기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우리말로는 '자기자본이익률'이라고 합니다.

기업이 자기자본(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줍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 (당기순이익)/(평균 자기자본)*100

위 공식에 의해 ROE 가 산출되며,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20%이면 10억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2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입니다.

ROE는 수익성 측면 뿐만 아니라, 기업의 성장성 측면에서 주목할 수 있습니다. ROE 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자기자본이 비효율적으로 크다거나, 이익잉여금을 회사에 쌓아두기만 한다면 ROE가 낮아질수 밖에 없겠죠?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됩니다.

참고로 ROE가 시중 금리보다 높아야 기업투자에 의미가 있습니다!

시중금리보다 낮다면, 은행 예금에 투자하는 편이 나을테니까요 :)

 

 

ROA(Return on Assets) 총자산수익률

ROA는 한 기업이 총자산으로 얼마나 많은 당기순이익을 냈는지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입니다.

총자산순이익률(ROA) = (당기순이익)/(기업의 총자산)*100

기업의 일정기간 순이익을 자산총액으로 나누어 계산한 수치로, 특정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느냐를 나타냅니다.

총자산은 자기자본과 부채의 합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ROA는 경영진이 수익을 내기위해 얼마나 효율적으로 자산을 배분하여 사용했는지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ROA가 높을수록 좋은 평가를 받는 것이지요.

 

두 개념의 차이점

두 개념 모두 기업의 수익성을 볼 수 있는 지표이지만, 차이점이 있습니다.

자산과 자기자본의 개념을 확실히 알고 계시다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업이 부채가 0이라면 자산과 자기자본은 같아지겠죠? 그럼 ROE와 ROA도 같게 나올 것입니다.

하지만 회사가 차입을 한다면(부채가 있다면), ROE는 ROA보다 높을 것입니다.

채(=타인자본)가 있다면, 기업은 이로 인해 발생하는 현금을 이용해 자산을 늘릴 수 있지만, 전체 자산에서 자기자본(Equity)가 차지하는 부분은 작아지게 됩니다. 때문에 ROA가 ROE보다 낮아지게 되죠.

ROE의 경우 부채가 제외된 자기자본만으로 계산이 되어있기 때문에, 기업의 부채가 기업의 수익에 얼마나 도움을 주었는지는 알기가 어렵습니다. 때문에 ROE보다는 ROA가 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잘 운영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으로 삼기 적절하다고 보여집니다.

이제 두 개념이 조금 이해가 되셨을까요?

이해하면 쉽지만, 막상 보면 헷갈리는 두 재무지표. 이번 기회에 확실히 이해하고 가셨으면 좋겠습니다.